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여자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번 문단을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width=25%> [[파일:괌 기.svg|width=50]] ||<width=25%> [[파일:네팔 국기.svg|width=25]] ||<width=2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50]] ||<width=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괌 축구 국가대표팀|괌]] ||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네팔]] ||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대만]]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 [[파일:동티모르 국기.svg|width=50]] ||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50]] ||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50]]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동티모르]] || [[라오스 축구 국가대표팀|라오스]] ||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레바논]] ||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마카오]]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50]] || [[파일:몽골 국기.svg|width=50]] ||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 || [[몰디브 축구 국가대표팀|몰디브]] ||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몽골]] ||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팀|미얀마]] ||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50]]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50]]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50]] || [[파일:부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바레인]] || [[방글라데시 축구 국가대표팀|방글라데시]] ||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베트남]]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부탄]] ||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width=50]] || [[파일:북한 국기.svg|width=50]]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50]]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북한]] ||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50]]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50]]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50]]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스리랑카 축구 국가대표팀|스리랑카]]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시리아]]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예멘 국기.svg|width=50]] || [[파일:오만 국기.svg|width=50]] ||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아프가니스탄]] || [[예멘 축구 국가대표팀|예멘]] ||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오만]] ||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요르단]]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5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50]] || [[파일:인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일본 국기.svg|width=5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50]]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네시아]]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카타르]] ||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50]]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캄보디아]]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타지키스탄]]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50]]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팔레스타인]]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50]]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필리핀]] ||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4><bgcolor=#f7f7f7,#191919><color=#191919,#FFFFFF>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14]]]]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아프리카 축구 연맹|[[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남미 축구 연맹|[[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오세아니아 축구 연맹|[[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유럽 축구 연맹|[[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4><bgcolor=#f7f7f7,#191919>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종합팀
DPR Korea national football team
FIFA 코드PRK
축구 협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 (DPRKFA)
대륙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홈구장김일성경기장 (40,239석)
양각도축구경기장 (30,000석)
릉라도5월1일경기장 (114,000석)
별칭천리마 축구단
감독
파일:북한 국기.svg

신영남[1] (SIN Yong-nam)
주장단
C
장국철 (JANG Kuk-chol)
FIFA 랭킹115위 (2023년 10월 26일 기준 / #)
Elo 랭킹114위 (2023년 10월 19일 기준 / #)
[ 대표팀 기록 보기 ]

A매치 최다 출전리명국 (RI Myong-guk)
- 120경기
A매치 최다 득점정일관 (JONG Il-gwan)
- 76경기 / 26골
월드컵 최다 득점박승진 (PAK Seung-zin)
- 2골 (1966)
첫 국제경기 출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vs ta-hash-start=w-b38700450d76fa2e5c3498b9218b9bc6[[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0
(중국 베이징 / 1956년 10월 7일)
최다 점수차 승리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vs ta-hash-start=w-ffd5a146054a13ce7bd23f9ed8612e7c[[파일:괌 기.svg 괌 21:0
(대만 타이베이 / 2005년 3월 11일)
최다 점수차 패배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vs ta-hash-start=w-814411c7a909ca15fc65a67b585ddd4d[[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0:7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 2010년 6월 21일)

[ 대회별 성적 보기 ]

세계 대회
월드컵[진출] 2회
[최고] 8위/8강 (1966)
올림픽[진출] 1회[1]
[최고] 8위/8강 (1976)
대륙 대회
아시안컵[진출] 5회
[최고] 4위 (1980)
아시안 게임[진출] 5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978)
EAFF컵[진출] 4회
[최고]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2005, 2015)
챌린지컵[진출] 3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10, 2012)
다이너스티컵[진출] 2회
[최고]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1990, 1992)

[1] 1964 도쿄 올림픽 16개국 본선 진출권을 얻었으나 당시 북한올림픽위원회의 대회 전면 불참 선언으로 나가지 못했다.

유니폼 컬러어웨이
상의
하의
양말
1. 개요
2. 역사
2.1. 과거~1966년
2.3. 1967년~2009년
2.5. 남아공 월드컵 이후
3. 역대 감독
4.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5. 현재 선수 명단
6. 역대 전적
7. 연령별 대표팀
8. 이야깃거리
9. 출신 인물
10.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북한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문서. 2023년 4월 기준 피파 랭킹 115위의 약체다. 이러한 평가와는 별개로 아시아 최초로 월드컵 본선에서 승리를 거둔 팀이자 아시아 최초로 유럽 국가를 월드컵 본선에서 격파한 팀, 아시아 최초의 토너먼트 진출 및 원정 8강 진출, 아시아 최초의 월드컵 우승국 격파라는 의외의 진기록을 모두 가지고 있기도 하다.[2]

대한민국과의 상대전적은 17전 1승 9무 7패로 절대 열세. 심지어 1승도 1990년 평양에서 벌어진 홈 경기이고, 이마저도 1-1로 끝날 경기를 북한인 주심이 일부러 시간을 끌다가 경기 종료 직전에 북한에게 페널티킥을 줘서 북한이 간신히 승리한 경기이고 나머지도 남한을 상대로 심판이 북한 쪽의 손을 들어주는 행동을 하거나 더러운 수법까지 쓰며 필사적으로 했는데도 졌거나 겨우 억지로 비겼다. 실제 남한 국가대표팀들의 인터뷰를 보면 욕설이나 싸움을 거는 것 말고는 볼 것 없고 부상이나 당하지 말자는 반응이다. 반대로, 여자 축구의 경우 남한과의 전적에서 15승 3무 1패로 절대 우세를 보이고 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아시아)/2차예선/H조에서 같은 조에 속해 평양에서 1차 남북대결을 펼쳐 0:0 무승부를 거두었고, 이후 2021년 서울에서의 2차 남북대결을 앞두고 돌연 기권을 선언해서 월드컵 예선 탈락이 확정되었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없지만, 프로파간다 문구 없이 인공기 달랑 하나뿐이다.[3] 그리고 아주 유니폼 스폰서가 없는건 아니라서 가끔씩 아디다스[4], 휠라, 엄브로[5], 레게아[6], JAKO 등과 계약을 한 적도 있다. 현재는 대북 제재 영향으로 외국 용품 제조사의 후원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북한 내에서 자체 생산한 유니폼을 입기 때문에 브랜드는 따로 없는 듯 하다. 2019년 10월 15일에 있었던 남한과의 2022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경기 당시에도 해외에서 생산된 그 어떤 물품도 북한으로 들어가서는 안 되었기 때문에 미국 제조사 나이키의 유니폼을 입는 남한의 선수들과 유니폼 교환 또한 금지시켰다. 여담이지만 2015년 경부터는 유니폼도 바꾸지도 않고 계속 같은 킷만 입고있다.

주요 선수로는 한광성, 박광룡, 정일관. 장국철 등이 있다.


2. 역사[편집]



2.1. 과거~1966년[편집]


해방 이전부터 평양 지역에서는 뛰어난 선수들이 많았고, 실제 50~60년대 남한에도 실향민 출신의 선수들이 있었다. 대표적인 선수가 바로 최정민.

북한은 남한이 1954년 스위스 월드컵에서 헝가리와 맞붙기 전에 이미 헝가리와 경기한 적이 있었는데, 이때 스코어가 10대0이었다고 한다.[7] 실제 이 경기를 뛰었던 선수가 훗날 월남해서 남한 대표팀에 들어가 헝가리에 대한 정보를 어느 정도 제공해 주기도 했다고.


2.2.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편집]



캡션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 당시, 이탈리아를 깨고 아시아 국가 최초로 월드컵 본선 첫 승과 함께 8강[8]에 진출한 전적이 있다. 이 경기의 결과는 1950년 브라질 월드컵에서 당대 축구 종주국으로 명성을 떨친 잉글랜드미국에게 0-1로 진 것과 더불어 월드컵 역사상 최대의 이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1966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는 아시아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를 통틀어 당시 16개국 본선 진출 티켓이 고작 1장밖에 부여되지 않았다. 이에 불만을 품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보이콧을 했고, 아시아에서도 이런저런 이유로 월드컵 예선에 참여하지 않아서 예선 참가국은 호주와 북한 단 둘뿐이었다. 여기서 북한이 호주를 꺾고 16개국 본선에 진출했다.

북한의 16강 조별리그 상대는 소련, 이탈리아, 칠레였다. 소련은 유로 우승국에 당시에는 전설의 골키퍼 레프 야신이 있던 우승후보국으로 지금과는 비교를 거부하는 당대 최강팀 중 하나였고 실제로 이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칠레 역시 전 대회에서 개최국 어드밴티지에 힘업어 3위에 오른 강팀이었다. 이탈리아는 수페르가의 비극 여파로 1950년부터 15년 넘게 부진했지만 1966년에는 강력한 수비에 힘업어 펠레의 브라질, 개최국 잉글랜드에 이은 우승후보로 꼽혔고 실제로 다음 1970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강팀이었다. 북한은 소련에게 0-3으로 무기력하게 패했지만 칠레와 비겼고, 최종전에서 이탈리아를 1-0으로 꺾는 대이변을 일으키며 8강에 진출했다. 분노한 이탈리아 팬들은 귀국하는 자국 선수들에 달걀과 토마토 세례를 퍼부었다.

그리고 8강전에서 만난 포르투갈에 3-0까지 앞서기까지 했다. 물론 경기는 에우제비우가 그라운드에 나타나기 전이었고, 에우제비우가 출전하자 마자 연달아 4골을 폭발시켜서 북한 선수들에게 헬게이트가 뭔지 가르쳐줬다. 경기결과는 3-5로 포르투갈에게 패했다. 특히 3-0으로 앞서다가 순식간에 5골을 연달아 얻어맞은 당시의 북한 선수들은 패배한 굴욕감보다도 아연실색이 앞섰다.

포르투갈과의 8강전에서 패배를 당해 이후 수용소에 끌려가고 말았다는 카더라가 있는데, 이것은 일부 선수가 고초를 당한 것이 와전된 것이다. 사실 김일성 입장에서는 포르투갈을 상대로 역전패 한게 아쉬웠을 뿐 어쨌든 2라운드까지 진출하는 성적을 올렸는데 잘가는 팀을 숙청시켜야할 하등의 이유 자체가 없었다. 탈북자 출신 주성하 기자에 의하면 사창가가 이유가 아니라 본질적으로는 당시 갑산파를 둘러싼 숙청에 애꿎은 축구선수들이 휘말렸다는 것이고, 실제로 이들 북한 대표팀이 수용소에 끌려간 것도 월드컵 몇 달 후였다고 한다. 스탠리 라우스 당시 피파 회장이 "공격에는 에우제비오, 골키퍼에는 레프 야신, 수비에는 신영규"라고 극찬받았던 신영규는 숙청당해서 지방의 도자기 공장 소속 축구팀에서 감독 일을 했다고 한다. 그리고 1970년대 말에 복권되어 평양에서 유소년 축구팀 관련 일에 종사했고, 말년에는 외국에 나가 살다가 1996년에 벨라루스에서 사망했다고 한다.

당시 북한 대표팀 선수단 중에 확실하게 행적이 확인되는 인물은 이탈리아전에서 득점을 기록한 박두익이다. 박두익은 1970년대 북한 대표팀 감독으로 맹활약하면서 남한과도 여려차례 대결했고, 이후에도 북한 축구계의 대표로 여러차례 모습을 보였다. 차범근의 따뜻한 축구 '北선수들 탄광행?' 그래도 절대 양보할 수 없었다 차범근이 국가대표였던 당시 박두익과 맞붙은 적이 있다고 한다.

영국의 다니엘 고든 감독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천리마축구단(The Game of Their Lives)을 보면 당시의 선수들이 다시 만나는 장면도 나오고, 그들 중 박두익을 포함한 몇몇은 꽤나 고위층으로 출세한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출연한 인물은 당시 북한 대표팀 감독이었던 명려현, 골키퍼 리찬명, 수비수 림중선, 미드필더였던 림승휘, 한봉진, 박승진과 공격수 박두익, 량성국 등 8명이다. 그들이 인민복이나 정장을 입고 나온 장면에서 옷에 훈장들이 주렁주렁 달려 있는 것으로 보아 꽤나 고위층으로 보인다.

다니엘 고든 감독은 이후에도 북한 정부의 협조하에 평양시의 두 여학생을 다룬 <어떤 나라>(2004년), 월북미군을 다룬 <푸른 눈의 평양시민>(2006년)을 연달아 제작하였다.


2.3. 1967년~2009년[편집]


안타까운건 정치에 의해 심히 좌지우지되는 북한 체육의 특성상 66년의 전력이 오래 가지 못했다는 것이다.[9]

1970년대는 그래도 한가닥 하던 북한의 기세가 남아있어서 아시아권에서는 나름 성적을 거뒀다. 주로 이 시기 북한은 아시안게임 축구올림픽 축구에 집중하며 출전했는데, 1974년 아시안게임 4위, 1978년 아시안게임 공동 금메달[10] 등 나름 성공적인 결과물을 얻었다. 또한 1976년 올림픽 본선 진출에 성공해 개최국 캐나다를 제치고 8강까지 기록하는 등[11] 선전했다. 이 시기 프로축구가 없는 공산주의 국가들이 당시 아마추어만 참가할 수 있는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에 국가대표급 선수들을 내보내면서 좋은 결과를 많이 얻던 시절이다. 서유럽과 남미의 국가대표급 선수들은 거의 프로 선수들이니 올림픽(지역예선 포함)에 수준이 떨어지는 선수를 내보냈고.

1980년대 들어서 1988 서울 올림픽을 유치하고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본선에 진출한 남한에 크게 자극받아 북한도 월드컵, 아시안컵, 연령별 대회 등에 자주 모습을 드러내려 노력한다. 1980 AFC 아시안컵 쿠웨이트 본선 대회에 사상 처음으로 진출하며 4위라는 성적을 냈고, 특히 준결승전에서 만난 남한을 패배 직전까지 몰아붙여 간담을 서늘하게 했으나 정해원의 영웅적인 활약으로 남한이 승리를 챙기고 결승에 진출한다. 이 경기는 아직도 한국 축구사의 명승부로 남아있는 경기다. 하지만 1982 뉴델리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불미스런 폭력 사태를 일으키면서 출전 정지 중징계를 받게 되면서 이 기세는 어이없기 꺾였고, 90년대 초반까지 북한 축구는 거의 올스톱되다시피 했다.

1990년대 초반 북한은 다시 아시아권에서 다크호스로 올라오는데, 1990, 1994 월드컵 최종예선에 연거푸 진출했고, 1992 AFC 아시안컵 일본 대회에 12년만에 다시 본선에 진출했으며, 특히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선 대진운이 크긴 했으나 무려 준우승, 은메달을 따내며 동메달의 남한보다 높은 성적으로 아시안게임 축구 대회를 마무리했다. 1993년 인도에서 개최하는 소규모 축구대회인 네루컵에서 우승하는 등 북한 축구는 이 당시 꽤나 만만히 볼 수 없던 전력이었다.

그러나 그 유명한 고난의 행군이 1994년부터 터지며 북한 축구계는 그야말로 초토화, 1998년 10월에 열린 1998 방콕 아시안게임 참가 전까지 약 5년간의 모든 국제 축구대회에 불참한다. 영양이 필수적으로 중요한 체육계에 대기근은 정말 치명적이었고, 이 당시는 정말 축구가 그깟 공놀이가 된 시기기도 하다. 1995년에 1998년 월드컵도 기권했으며, 한일 월드컵도 기권했다. 약 10년이 지난 이후 200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겨우겨우 북한은 다시 국제 축구계에 복귀한다. 2006 FIFA 월드컵 독일 아시아 최종예선에 진출하면서 깜짝 성적을 내기도 했고, 2005년 남한에서 열린 동아시안컵에서는 김영준의 결승골로 일본에 1대0으로 이기고 이어진 남북전에서 무승부를 거두는 등 호성적을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2004 아시안컵 예선 도중 또다시 징계를 먹고 2007년 아시안컵 예선 자체에 출전하지 못하는 등 매끄럽지 못한 북한의 행정은 여전했다.

2.4. 2010년 남아공 월드컵[편집]


1:1 데스매치로 치러지는 1차예선에서 몽골을 가볍게 때려눕히고 3차예선에 올라왔고, 3차예선에서 대한민국과 한 조에 묶이더니 우리나라의 무재배 전문 감독님이 다른 팀은 거의 다 때려잡아놓고 북한한테만 두 번 다 신선한 0:0 무를 선사하며 남북이 동시에 최종예선에 진출하였다.

게다가 최종예선 마저 대한민국이랑 같이 묶였다. 아랍에미리트를 2승으로 때려잡고 사우디한테 1승 1무를 거뒀으며, 이란이 8경기 5무라는 평화축구로 자멸하면서 조 2위로 본선에 다이렉트로 진출한다. 무려 44년만의 월드컵 복귀. 이 때 대한민국을 상대로 서울 원정은 잘만 와놓고 홈경기에선 태극기를 게양할 수 없다면서 3차예선과 최종예선 전부 중국에서 홈경기를 치렀는데, 다른 나라는 그런 거 없이 전부 김일성경기장으로 불러서 예선 전체를 통틀어 단 한번도 지지 않는 홈 깡패의 위력을 보여주었다. 최종예선 성적은 3승 3무 2패로 2패는 서울과 테헤란의 아자디 스타디움에서 기록하였다.

그러나 조 추첨에서는 브라질, 포르투갈, 코트디부아르와 같이 묶이는 최악의 조편성이 나왔다. 월드컵 본선 조별리그 1차전 브라질전에서는 지윤남이 골을 터뜨리며 1-2 패배로 굉장히 선전하였으나, 2차전 상대이자 44년 만에 만난 포르투갈에게는 전반전은 0-1로 잘 버티다가 후반전에서 갑자기 골먹쇼를 하며 6골을 내리 실점, 0-7로 대패하였다. 역대 월드컵마다 한 팀이 대량실점으로 참패하는 경기가 하나씩은 꼭 있었는데 남아공에서 딱 한번 터진 관광경기가 바로 이 게임이었다.[12] 이어서 코트디부아르에게도 0-3으로 지며 0승 3패 득실 -11로 대회 전체 최하위를 찍는 불명예스런 기록을 세웠다.

더 무서운 것은 브라질을 상대로 선전했다는 소식을 들은 김정일포르투갈전을 실시간으로 봤다고 한다. 실제로 대회 직후 외신에서 북한 대표팀의 김정훈 감독이 감옥에 갔다는 내용이 보도되며 한동안 시끄러웠다.[13] 11월에 김정훈이 AFC 주관으로 카타르에서 열린 감독의 날 행사에 참석하며 오보로 판명나긴 했는데... 대북 소식통으로 유명한 주성하 기자의 보도에 따르면 김정훈 감독이 잡혀간 것은 사실이라고 한다. 귀국하자마자 감독은 바로 체포되어 로동교화소로 끌려갔고 선수들은 1주일간 특별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데 피파에서 북한 대표팀 아오지설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북한에 해명을 요구하자, 당국이 부랴부랴 김정훈 감독을 석방하고 감독의 날 행사에 참여시켰다고 한다. 그러나, 김정훈은 카타르 행사 이후 본인과 가족들이 모두 사라졌고 현재까지 생사가 확인되지 않는다고 한다. 김정훈의 아내가 남편을 구명하는 과정에서 김정은의 친어머니인 고용희 여사와의 친분을 언급했는데, 문제는 이 고용희 여사가 재일교포 출신이라는 것이었다. 백두혈통을 강조하는 김정은 입장에서 숨기고 싶은 역린을 들춘 셈이 된 것이다.#

타 종목의 북한 국가대표선수 출신 탈북자도 해당 선수들이 처벌을 받았다고 증언했다. 월드컵 이전까지 축구선수들은 선수촌에서 특식을 제공받으며 특별 대우를 받았으나 월드컵 이후 더이상 선수촌에서 볼 수 없었고, 처벌도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에서 진다고 다 수용소에 끌려가지는 않지만 그렇게 대패했는데 처벌을 받지 않는 건 북한에서는 말이 안된다고. 당시 북한이 월드컵을 사상 최초로 생중계하였는데[14] 그만 대패하면서 분위기가 말이 아니었다고 한다. 아오지같은 곳에 끌려갔는지는 모르겠지만 최소한 로동교화 정도는 받았을 것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리명국이나 홍영조 등 몇몇 선수들은 이후에도 선수로 계속 뛰었기 때문에 적당히 처벌받는 선에서 그쳤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북한 소식통발 소식이 그렇듯 신뢰도는 그닥이므로 공식적으로 확인된 사실은 김 감독의 카타르 행사 참여까지다.


2.5. 남아공 월드컵 이후[편집]


2010 월드컵 진출과 동시에 2011 카타르 아시안컵에도 진출권을 따놓았기 때문에 아시안컵도 진출하였다.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만났던 아랍에미리트와 이란, 그리고 이라크와 같이 묶였는데 공교롭게도 UAE을 제외한 세 나라가 부시가 지정한 악의 축이라 반미모임 드립이 돌기도 했다. 결과는 아랍이랑 비기고 이란 이라크에게는 지면서 단 한골도 못 넣고 광탈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의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는 조 추첨 결과 일본,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15]과 같은 조가 되었다. 그리고 6경기 중 4경기를 치른 결과 타지키스탄 상대로 1승 거둔 거 빼고 일본[16]과 우즈베키스탄에 모두 져서 탈락했다.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은 아시아 2차 예선에서 일찌감치 탈락했다. 그것도 약체 필리핀에 2-3으로 패하는 부진을 보였고 이 패배로 22년만에 역대 2번째 외국인 감독을 영입했다. 노르웨이 출신으로 1990년 프랑크푸르트 소속으로 분데스리가 득점왕을 기록한 욘 안데르센이다. 다만, 선수 시절에는 활약했지만 감독으로서의 능력은 마인츠의 분데스리가 1부 리그 승격을 이끈 것을 제외하면 미미하다.

이러한 원인은 북한대표팀 특유의 폐쇄성 때문에 선수나 감독이나 현대축구의 흐름에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것도 있다. 당장 대표팀 선수들은 대부분 자국리그인 최상급축구련맹전 소속에 극소수의 재일 조선인 출신들이 J리그팀에서 뛰고 있다. 이렇다보니 북한도 최근 들어서 선수들을 유럽으로 진출시키며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정치적 문제로 난관에 부딪치고 있다. 2016년 5월 미켈레 니콜레티 등 이탈리아 하원의원 2명이 북한 선수 최성혁과 세리에 A 팀인 피오렌티나간 계약에 관한 조사를 이탈리아 정부에 요구했다. 그 이유는 최성혁에게 지급된 돈이 북한에 흘러들어 가면 UN의 대북 제재 조치를 위반한 것 아니냐는 점과 최성혁의 활동 자유 등 인권이 보장되고 있느냐는 것이다. 결국 이런 것이 부담이 되는지 피오렌티나 측은 최성혁과 계약을 취소했다.

북한 역사상 첫 외국인 감독 선임은 남한(아나톨리 비쇼베츠)보다 1년 더 빨랐는데 1994 미국 월드컵을 앞두고 헝가리 출신의 체르너이 팔에게 지휘봉을 맡겼다. 당시 북한은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까지 진출했지만, 최종 라운드에서 남한과 일본에 0-3으로 참패하며 6개 팀 중 최하위를 기록해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19 아시안컵 최종예선에서는 레바논에 홈에서 2-2로 비겼으나 원정에서 레바논에 0-5로 두들겨 맞았다. 그러나 말레이시아를 상대로 2연전을 모두 4-1로 대승하였고, 홍콩과의 최종전을 2-0으로 승리하며 조 2위로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예선에서 또 남한과 한 조가 되었다. 간만에 남한이 평양 원정을 갔으나 무관중으로 방침을 바꿨다. 경기 결과는 0-0 무승부. 그러나 정작 남한 홈경기 일정이 다가오자 코로나를 핑계로 기권했고 남한 홈 경기는 취소되었다.

전세계적인 코로나 19 사태 기간동안 북한은 단 한차례도 A대표팀 경기를 치르지 않다가, 2023년 11월 이후 2026년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예선부터 다시 국제 대회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3. 역대 감독[편집]


||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ffffff,#191919> 1956년 ~ 현재 ||
||<width=20%> *
미상
파일:북한 국기.svg ||<width=20%> 1대
김군남
파일:북한 국기.svg ||<width=20%> 2대
명례현
파일:북한 국기.svg ||<width=20%> 3대
박두익
파일:북한 국기.svg ||<width=20%> 4대
박두석
파일:북한 국기.svg ||
|| 5대
양성국
파일:북한 국기.svg || 6대
한봉진
파일:북한 국기.svg || 7대
박두석
파일:북한 국기.svg || 8대
정영성
파일:북한 국기.svg || 9대
박두익
파일:북한 국기.svg ||
|| 10대
김정민
파일:북한 국기.svg || 11대
명동찬
파일:북한 국기.svg || 12대
홍현철
파일:북한 국기.svg || 13대
체르너이
파일:헝가리 국기.svg || 14대
문기남
파일:북한 국기.svg ||
|| 15대
명동찬
파일:북한 국기.svg || 16대
리정만
파일:북한 국기.svg || 17대
윤정수
파일:북한 국기.svg || 18대
한형일
파일:북한 국기.svg || 19대
김정훈
파일:북한 국기.svg ||
|| 20대
조동섭
파일:북한 국기.svg || 21대
윤정수
파일:북한 국기.svg || 22대
김창복
파일:북한 국기.svg || 23대
안데르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24대
박용일
파일:북한 국기.svg ||
|| 25대
김영준
파일:북한 국기.svg || 26대
윤정수
파일:북한 국기.svg ||<bgcolor=#e0ffdb,#073300> 27대
신영남
파일:북한 국기.svg ||

||

||
||<-5><bgcolor=#0c2c84> * 는 재임했던 감독들이 확인되지 않는 기간(1956년~1964년) ||
||<-5><height=30><bgcolor=#eeeeee,#191919> ||





4.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편집]


[ 펼치기 · 접기 ]
#000,#ddd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rowbgcolor=#ff1100><rowcolor=#ffffff><width=10%> '''순서''' ||<width=40%> '''선수 이름''' ||<width=10%> '''출전 횟수''' ||<width=20%> '''첫 경기''' ||<width=20%> '''마지막 경기''' || || 1 || [[리명국]] || '''120회''' || 2007.6.24 || 2019.1.17 ||




5. 현재 선수 명단[편집]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영문 성명생년월일출장득점클럽비고
GK1강주혁Kang Ju-Hyok1997년 5월 31일00홰불체육단
18신대성Sin Tae-song2000년 5월 30일004.25체육단
21유광준Yu Kwang-jun2000년 11월 5일00려명체육단
DF2김경석Kim Kyong-sok2000년 2월 19일00선봉체육단
3장국철Jang Kuk-chol1994년 2월 16일625홰불체육단주장
5정금성Jong Kum-song1997년 1월 24일00리명수체육단
14최옥철Choe Ok-chol1998년 11월 11일00기관차체육단
16김유성Kim Yu-song2003년 7월 18일00압록강체육단
17강국철Kang Kuk-chol1999년 9월 29일90리명수체육단
23최진남Choe Jin-nam1998년 11월 20일00려명체육단
MF4김범혁Kim Pom-hyok2002년 4월 15일00려명체육단
6최성혁Choe Song-hyok1998년 2월 28일30FA
7권혁준Kwon Hyok-jun1997년 3월 6일00FA
11정일관Jong Il-gwan1992년 10월 30일7626리명수체육단
15리은철Ri Un-chol1995년 7월 13일251선봉체육단
19김국범Kim Kuk-bom1995년 2월 19일100려명체육단
20백충성Paek Chung-song2002년 2월 25일00려명체육단
FW8김국진Kim Kuk-jin2000년 10월 11일00기관차체육단
9박광룡Pak Kwang-ryong1992년 9월 27일4114FA
10한광성Han Kwang-song1998년 9월 11일101FA
12최주성Choe Ju-song1996년 1월 27일60압록강체육단
13리일송Ri Il-song2004년 1월 14일004.25체육단
22리형진Ri Hyong-jin1993년 9월 21일634.25체육단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11월 18일





6. 역대 전적[편집]



6.1. FIFA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불참(일제 강점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불참(6·25 전쟁)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불참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불참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불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8강8위4411259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기권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기권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불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불참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조별리그32위03003112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예선 도중 기권[17][18]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2026년 북미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합계8강 1회2/23[19]47115621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총성적 1승 1무 5패, 승점 4점을 기록하여 월드컵 랭킹 58위에 올라있다. 승점이 같은 나라는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쿠바가 있지만 평균 점수[20]에서 쿠바 1.33(승점 4점 / 3경기), 슬로바키아 1.00(승점 4점 / 4경기), 슬로베니아 0.67(승점 4점 / 6경기), 북한 0.57(승점 4점 / 7경기)를 기록하여 순위가 같은 네 나라 중 순위가 가장 낮다. 따라서 북한은 월드컵 2라운드에 진출한 팀들 중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하는 팀이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으며, 굵게 표시된 나라는 월드컵에서 우승한 국가들이다.

이탈리아 : 1승(1966)
브라질 : 1패(2010)
러시아 : 1패(1966)
포르투갈 : 2패(1966, 2010)
칠레 : 1무(1966)
코트디부아르 : 1패(2010)

대륙별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다.

유럽 : 1승 3패
남미 : 1무 1패
아프리카 : 1패

북한이 월드컵 전적에서 앞서있는 팀은 이탈리아 뿐이고, 호각세인 팀 역시 칠레 뿐이며, 브라질, 러시아, 포르투갈, 코트디부아르에는 열세를 기록하고 있다.

한 경기 최다득점 기록은 1966년 잉글랜드 월드컵 8강 포르투갈전 3:5 패이며, 최다실점 기록은 2010년 남아공 월드컵 32강 본선 조별리그 포르투갈전 0:7 패이다. 공교롭게도 두 경기 모두 포르투갈 대표팀을 만나 패했다.

다음 대회는 이스라엘의 참가에 반대하며 불참을 선언, 이후로도 월드컵에 뜨문뜨문 참가하며 세계와의 격차를 벌리며 다시 변방으로 떨어졌다. 1994년 최종예선에서는 처참히 발리며 꼴지로 추락한 것에 충격을 받았는지 이후 두 월드컵을 또다시 불참했다. 여기에 북한의 자존심상 참가할 수 없는, 남한에서 개최한 2002 월드컵이 껴있기도 했다.

2006년 월드컵 예선부터 다시 참여를 재개하여 2010년 월드컵때 사우디와 이란을 누르고 44년만에 32강 본선에 올랐고 또다시 수수께끼의 팀으로 이번엔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궁금하게 했던 팀이다. 하지만 32개국 중 꼴찌를 기록했다. 조 추첨 직전 이탈리아에선 북한과 다시 붙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할 만큼 관심을 많이 받았던 팀이었고, 실제로 뚜껑이 열리고 브라질을 상대로 1점차로 분투하면서 발목잡이 역할을 하나 싶었는데 다음 포르투갈전에서 후반전에 와르르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주며 광탈. 동무들! 아오지 탄광으로 가자우! 실력 자체는 좋은 편이 아니다.


6.2. 올림픽[편집]






6.3. AFC 아시안컵[편집]


대회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1956년 홍콩
불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0년 대한민국
출전 금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64년 이스라엘
불참
파일:이란 국기.svg
1968년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1972년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6년 이란
본선 진출 확정 후 기권[21]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년 쿠웨이트
4위[22]963031012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984년 싱가포르
출전 금지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년 카타르
본선 진출 실패[10개팀]
파일:일본 국기.svg
1992년 일본
조별리그8위[23]130122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년 UAE
불참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년 레바논
본선 진출 실패[12개팀]
파일:중국 국기.svg
2004년 중국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7년 아세안
출전 금지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1년 카타르
조별리그12위1301202
파일:호주 국기.svg
2015년 호주
조별리그13위030032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9년 UAE
조별리그24위03003114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3년 카타르
예선 도중 기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년 사우디아라비아
합계4위(1회)5/19111832131540


6.4. EAFF E-1 풋볼 챔피언십[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일본 국기.svg 2003년불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년결선리그3위3111124
파일:중국 국기.svg 2008년결선리그4위3021352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본선 진출 실패[4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파일:중국 국기.svg 2015년결선리그3위3111234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결선리그4위301213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본선 진출 실패[4강]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불참
합계3위(2회)4/81225571311


6.5. 아시안 게임[편집]




6.6. 역대 한국전 성적[편집]


2019년 10월 15일 기준 남한이 7승 9무 1패로 절대적으로 앞서고 있지만, 2000년대 이후에는 2승 7무를 기록하며 예전처럼 크게 압도하지는 못하고 있다. 유일한 패배는 예전 노태우 정권 때 남북관계가 일시적으로 좋아졌던 시기에 펼쳐진 1990년 평양 원정 남북친선경기로, 1:1로 끝날 경기를 당시 북한 심판이 90분이 지난 뒤에도 계속 경기를 노골적으로 끌며 98분에(...) 북한의 pk를 선언하고, 결국 실점하여 1:2가 되서야 바로 경기를 종료했다고 한다. 평양 능라도 5.1 경기장에서 펼쳐진 1차전은 막판에는 한국이 역습을 하면 전혀 얼토당토 않게 오프사이드를 분다던지 중계진마저 그냥 해탈한 듯한 반응을 보일 정도로 북한이 이기게 하려고 짜여진 경기였다. # 마지막 패널티킥도 전혀 패널티킥을 줄 장면도 아니었다. #

이후 서울에서 펼쳐진 경기에서는 황선홍의 결승골로 남한이 1:0으로 승리했다. 당시 양 국가는 유니폼에 국기, 협회 휘장 등 팀을 상징하는 어떤 표시도 하지 않기로 합의하였고, 유니폼은 남한이 빨간색, 북한이 흰색으로 나섰다.


7. 연령별 대표팀[편집]



7.1. U-23 대표팀[편집]



7.1.1. AFC U-23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AFC U-23 챔피언십 대회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2014
조별리그10위431113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16
8강8위2402268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18
조별리그9위4311134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20
조별리그12위3310235
AFC U-23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22
기권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24
굵은 글씨는 올림픽 출전권이 걸려있는 대회
합계8강 (1회)4/5[24]13133461519


7.2. U-20 대표팀[편집]



7.2.1. FIFA U-20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튀니지 국기.svg
1977년 튀니지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1979년 일본
파일:호주 국기.svg
1981년 튀니지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3년 멕시코
파일:소련 국기.svg
1985년 소련
파일:칠레 국기.svg
1987년 칠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9년 사우디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991년 포르투갈
파일:호주 국기.svg
1993년 호주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5년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7년 말레이시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9년 나이지리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년 아르헨티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3년 아랍에미리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5년 네덜란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7년 캐나다
조별리그19위2302123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9년 이집트
예선 탈락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1년 콜롬비아
조별리그21위1301206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3년 터키
예선 탈락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5년 뉴질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대한민국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년 폴란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3년 아르헨티나 [25]
합계조별리그 (2회)2/23[26]3603329


7.2.2. AFC U-20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AFC youth 챔피언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 말레이시아
불참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 말레이시아
파일:태국 국기.svg
1961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2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 말레이시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 남베트남
파일:일본 국기.svg
1965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 필리핀
파일:태국 국기.svg
1967 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9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 필리핀
파일:일본 국기.svg
1971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1972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3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1974 태국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 쿠웨이트
4강[27]3위13741296
파일:태국 국기.svg
1976 태국
우승 [28]1위10724164
파일:이란 국기.svg
1977 이란
불참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 방글라데시
4강[29]3위157430132
파일:태국 국기.svg
1980 태국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1982 태국
참가 금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 UAE
기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 사우디
4강3위9530253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조별리그6위3310247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 인도네시아
준우승2위105311114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 UAE
기권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 인도네시아
불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태국
예선 탈락
파일:이란 국기.svg
2000 이란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 카타르
기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 말레이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2006 인도
우승 1위136411103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 사우디[30]
8강8위5412163
파일:중국 국기.svg
2010 중국
우승 1위156501123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 UAE
조별리그9위4311163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 미얀마
준우승2위86222107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 바레인
조별리그16위0300329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 인도네시아
조별리그12위3310247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우즈베키스탄
불참
합계우승 (2회)13/41[31]108653115199661


7.3. U-17 대표팀[편집]



7.3.1. FIFA U-17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중국 국기.svg
1985 중국
불참
파일:캐나다 국기.svg
1987 캐나다
예선 탈락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1989 스코틀랜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1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1993 일본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995 에콰도르
파일:이집트 국기.svg
1997 이집트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1999 뉴질랜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2001 트리니다드 토바고
불참
파일:핀란드 국기.svg
2003 핀란드
예선 탈락
파일:페루 국기.svg
2005 페루
8강8위441127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대한민국
16강15위4411231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9 나이지리아
실격
파일:멕시코 국기.svg
2011 멕시코
조별리그18위230213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3 UAE
예선 탈락
파일:칠레 국기.svg
2015 칠레
16강14위4411237
파일:인도 국기.svg
2017 인도
조별리그23위0300305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9 브라질
예선 탈락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23 인도네시아
불참
파일:국기.svg
2025 FIFA U-17 월드컵
합계8강(1회)5/19[32]141835101634


7.3.2. AFC U-17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5 카타르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6 카타르
4강4위3503247
파일:태국 국기.svg
1988 태국
조별리그9위1401341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0 아랍에미리트
예선 탈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92 사우디아라비아
4강4위7521274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4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1996 태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8 카타르
조별리그7위6420256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0 베트남
불참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2 아랍에미리트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2004 일본
준우승2위8622264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06 싱가포르
준우승2위95302149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08 우즈베키스탄
실격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0 우즈베키스탄
우승1위166510133
파일:이란 국기.svg
2012 이란
조별리그12위3310227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태국
우승1위116321126
파일:인도 국기.svg
2016 인도
4강4위8522196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말레이시아
8강5위8422074
AFC U-17 아시안컵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태국
불참
합계우승 (2회)11/19[33]80532214178366


8. 이야깃거리[편집]











하지만 이후 정작 조선중앙방송이야말로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남조선'도 아닌 '괴뢰'라고 표기하고 부른 것이 발견되어 내로남불이라는 지적이 생겼다. #




9. 출신 인물[편집]


현재, K리그 수원삼성에서 뛰고있는 재일교포 출신 안병준이 있다.

10. 관련 문서[편집]


[1] 언론 표기에는 '신용남'이라는 표기가 다수이나, 북한 매체에서는 '신영남'으로 표기하기에 신영남이 맞는다.[2] 이 역사적인 대기록은 모두 1966 잉글랜드 월드컵에서 달성한 것이다. 공교롭게도 아시아에서 FIFA 월드컵 8강 이상의 기록은 한민족인 대한민국과 북한만이 보유하고 있다.[3] 유니폼 제작 규격에 문구는 집어넣지 못하게 제한하고 있다. 가끔 집어넣는 팀이 있어도 그건 특정 문구가 아니라 농구나 야구 국가대표팀같이 나라명을 적었을 뿐(보통 축구협회 엠블럼의 일부라서 그것처럼 화려하지는 않다).[4] A B C 본선 동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5] 2005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6] 2010 남아공 월드컵.[7] 당시 북한이 남한보다는 약간 강했긴 하나 세계 최강 헝가리에 비빌 급은 못 되었다.[8] 당시 2라운드[9] 이때나 지금이나 공산주의 국가들은 정치에 있어서 국가 정세도 당연하고 스포츠계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 국제 스포츠계에선 당시엔 심하게 제재할때도 아니였다.[10] A B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1] 8강전 폴란드에게 5:0으로 대패했다.[12] A B 본선 2000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3] 오죽하면 북한과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2골을 넣은 티아구 멘데스가 경기가 끝난 이후에 "북한 선수들이 끌려가는 게 매우 걱정되긴 하지만 우리도 코트디부아르를 상대로 무승부를 거두는 바람에 16강에 진출하려면 한 골이라도 더 넣야만 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많은 득점을 했다."라는 말을 남겼다.[14] 이 때 북한에서 중계권을 구걸해 개막전 남아프리카 vs 메히꼬 경기를 틀어준 짤이 인터넷에 돌아다녔다.[15] 원래 시리아였는데 시리아가 부정 선수 참가를 이유로 실격당해서 타지키스탄으로 변경.[16] A B C 본선 2004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A B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7] 2차예선 진행 도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을 이유로 기권[18] 이 때문에 애꿎은 투르크메니스탄이 북한을 3-1로 이긴 경기가 취소되어 그로 인해 어부지리로 지역예선에서 탈락하게 된 반면 레바논이 북한한테 0-2로 진 경기도 취소된 덕분에 투르크메니스탄이 나가 떨어진 자리로 들어와 레바논이 최종 예선에 합류하게 되었다.[19]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20] 승점/경기횟수를 나눈 점수[21] 6개팀(6강) 본선 76아시안컵에 진출 확정되었으나, 북한은 기권하였고, 북한 기권 후 중국이 대신 76아시안컵 6개팀(6강) 본선에 진출하였고, 중국은 76아시안컵 3위를 기록했다.[22]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23] 이 대회 때는, 기존 10개국에서 본선 8개국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지역 예선 통과 후 8강 본선 92아시안컵이었다.[24] AfC U-23 아시안컵 본선 출전 비율[25] 2021년 대회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26] FIFA U-20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27] 쿠웨이트와 공동 3위[28] 이란과 공동 우승[29] 쿠웨이트와 공동 3위[30] 이 대회부터 3.4위전 폐지[31] AfC U-20 아시안컵 본선 출전 비율[32] FIFA U-17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33] AfC U-17 아시안컵 본선 출전 비율[34] 이 때문에 북한의 대표적인 해외파이던 박광룡도 오랫동안 활동하던 스위스 리그를 떠나야만 했다.[35] 다른 종목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1990년대 초 북한의 체조 요정으로 불렸던 김광숙이 나이를 속인 사실이 드러나 징계를 받고 사라진 사례가 있다.[36] 1994 미국 월드컵 예선에서 일본과 남한에게 각각 0-3으로 연패한 것이 문제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37] 남한으로 치면 '남조선'에 해당하는 단어다.



관련 문서